우리동네옛이야기

노원구 하계동

중전마님 2020. 3. 2. 21:20


노원구 하계동

미꾸라지가 昇天했다가 떨어졌다는 전설

"이것은 신령스러운 비석이다. 이를 범하는 사람은 재화(災禍)를 입으리라."

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비석인 '이윤탁 한글 영비(보물 제1524호)' 에 쓰여 있는 문구다.

비석은 조선 중기 문신인 이문건(1494-1567)이 아버지 이윤탁의 묘에 세운 것으로,

노원구 하계동 산 12번지에 있다.

하계동(下溪洞)은 노원구와 도봉구 경계를 흐르는 중량천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어 이름 붙여졌다.

가좌동과 용동리 등이 있었는데, 가좌동의 맑은 하천에는 크고 살이 통통한 가재가 잘 잡혔다고 전해지고,

용동리에는 용이 되지 못한 미꾸라지 전설이 내려온다. 천 년을 채우지 못해 승천(昇天)하지 못한

미꾸라지는 어느 날 하늘에서 내려온 천관(天官)을 목격했다.

미꾸라지는 천관이 사람으로 변장하기 위해 벗어 놓은 옷을 훔친 후 " 아직 천 년이 못 돼 하늘로

올라갈 수 없는데 도와달라. 그렇지 않으면 옷을 주지 않겠다"고 협박했다.

천관은 도움을 줬고, 용이 된 미꾸라지는 하늘로 올라갔다.

그러나 하늘 문(門)에 도달한 미꾸라지는 하늘로 들어올 수 있는 나이가 모자라 땅으로 내쳐졌고,

떨어진 곳은 '용이 되돌아왔다'는 뜻의 되룡굴이라 불렸다.

미꾸라지가 떨어져 죽으면서 내뱉은 거품이 마을을 덮어 용동리 근처 산에는 나무가 잘 자라지

않는다는 전설이 내려온다. 용동리 앞에는 '무더미'라는 들판이 있었는데, 

천관이 떨어져 죽은 미꾸라지를 불쌍하게 여겨 묻어준 곳이라는 뜻이다.(김성민기자)

조선일보2010년 12월31일 

'우리동네옛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영등포구 신길동  (0) 2020.03.02
양천구 신월동  (0) 2020.02.26
동대문구 용두동  (0) 2020.02.25
중량구 묵동  (0) 2020.02.18
금천구 시흥동  (0) 2020.02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