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복70년...물건의 추억

停電 때마다 열어본 '두꺼비집' 고난도 퓨즈 교체는 남편들 몫

중전마님 2022. 12. 6. 13:24

 

 

停電 때마다 열어본 '두꺼비 집' 고난도 퓨즈 교체는 남편들 몫 

 

국내 최악의 공연장 화재 참사가 1972년 연말 일어났다. 12월 2일 서울 세종로 서울 시민회관(현 세종문화회관 자리)에서  '10대 가수 청백전' 공연 중 조명 장치 과열로 불이 나서 53명이 시밍하고 76명이 중상을 입었다.  가수 문주란, 김상희, 하춘화도 다쳤다, 어처구니없게도 건물 한구석 벽에 붙은, 이른바 그꺼비집'을 잘못 건드렸기 때문이었다. 공연 중 흐른 과() 전류 때문에 두꺼비집의 퓨즈가 녹아내려 전기가 끊기자 이를 귀찮게 여긴 직원이 퓨즈 대신 철사로 연결해 놓는 바람에 과전류가 무방비로 흘렀던 것이다(조선일보 1972년 12월5일자). 이 땅에 전기가 들어온 이래 1970년 말까지 모든 집마다 대문 부근 벽 위쪽에 두꺼비집이 붙어 있었다. 전기가 가정집에 들어오는 첫 관문을 지키는 개폐(開閉) 스위치와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가 설치된

배전(配電 ) 박스였다. 큼직한 스위치 모양이 엎드린 두꺼비 등 같아 그런 이름이 붙었다. 우리 민속에서 두꺼비는 복을 가져다 준다는 존제이니 이름의 인상은 친근하다. 하지만 '두꺼비집'은 잘못 건드리면 온 가족의 생명과 재산을 빼았는 참화를 부를 수 있는 아킬레스건 같은 급소였다. 오늘날 두꺼비집 대신 쓰는 누전차단기는 집 안 어디에 붙어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수두룩하다. 반면 정전(停電)이 잦던 예전엔 전기가 나갈 때마다 두꺼비집부터 열어 보는 게 상식이었다. 전류가 너무 많이 흘러 정전 됐다면 끊어진 퓨즈를 교체해야 했는데 이게 간단하지 않았다. 퓨즈를 갈다가 감전사한 경우도 있었다. 남자가 해야 할 집안일 중 '벽에 못 박기' 나 '형고아등 교체' 따위에 비해 난도가 훨씬 높은 작업이었다. 물론 남편 몫이었다. 겁이 나서 두꺼비집을 안 열어보고 전기회사에 연락부터 하는 건 반( )과학적 생활 방식'이라고 꾸짖었다. 

1968년 숙명여대가 전교생 2300여명을 대상으로 '여대생들, 집안일 어디까지 할수 있나'를 조사할 때 물어본 세 가지 집안일은 '간장. 된장 담그기'   '재봉틀 바느질'  '두꺼비집 퓨즈 교체'였다.  여대생 20%가 "퓨즈를 교체할 수 있다"고 답했다. 남녀 할 것 없이 웬만한 집안일은 직접 했던 DIY(Do It  Yourself) 시대의 모습이다.

누전차단기 시대인 오늘날 남편들의 퓨즈 교체 부담은 없다. 집안 안전을 몸으로 감당하던 막중한 남자의 일 한 가지도 사라졌다. 이제 남자가 하는 집안일은 대개 '음식 쓰레가 버리기'같은 단순 노동이다. 남편이 맡는 숙련 가사 노동은 '명절에 전 부치기' 정도만 남은 듯하다. (김명환 사료연구실장)

 

조선일보

2015년 9월23일 수요일